Linux 서버에 VNC Server를 설치하여 X-Window에 vnc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가장먼저 rpm 명령어를 통해서 서버에 VNC Server가 깔려 있는지부터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vnc 서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아무것도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yum 명령어로 vnc-server를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끝나면 가장 먼저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을 열어서 아래 두 줄을 추가해 줍니다.
vnc 서비스의 순서와 계정, 해상도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1:root"와 "1440x900" 부분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vnc 서비스의 접속 포트번호는 여기서 설정한 순번에 5900을 더한 값으로 지정이 됩니다.(1번으로 설정하면 5901)
위에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 설정시 사용할 수 있는 옵션...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의 설정을 모두 마쳤으면 vnc 연결에서 사용할 계정의 vnc 연결용 패스워드를 지정해줍니다.
패스워드를 지정하였으면 /root(사용할 계정 홈 디렉토리)/.vnc/xstartup 파일을 열어서
아래 이미지에서 표시된 부분의 주석 처리를 제거해주고 저장합니다.
이 작업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vnc 연결시 정상적인 X-Window가 보이지 않고 터미널 화면만 보이게 됩니다.
이제 VNC 서버의 설정은 모두 마쳤습니다. 서비스에 등록한 다음 시작해 봅니다.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다면 VNC Client를 통해서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필자는 잘 알려진 윈도우용 VNC 프로그램인 RealVNC(http://www.realvnc.com/)를 이용하여 접속하였습니다.
만약에 정상 접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가장 먼저 서버에서 netstat 명령어를 통해 해당 포트가 listen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netstat 명령에서 포트 listen이 정상임에도 접속이 안되는 것이라면
방화벽 설정에서 vnc 서비스용 포트를 열어두었는지 확인합니다.
가장먼저 rpm 명령어를 통해서 서버에 VNC Server가 깔려 있는지부터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 rpm -qa | grep vnc
vnc 서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아무것도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yum 명령어로 vnc-server를 설치해 줍니다.
# yum -y install vnc-server
설치가 끝나면 가장 먼저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을 열어서 아래 두 줄을 추가해 줍니다.
vnc 서비스의 순서와 계정, 해상도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1:root"와 "1440x900" 부분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vnc 서비스의 접속 포트번호는 여기서 설정한 순번에 5900을 더한 값으로 지정이 됩니다.(1번으로 설정하면 5901)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1]="-geometry 1440x900"
VNCSERVERARGS[1]="-geometry 1440x900"
위에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 설정시 사용할 수 있는 옵션...
-nolisten tcp
TCP 통신을 통한 VNC 서버로의 연결을 차단합니다.
-nohttpd
웹기반 VNC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차단합니다.
-localhost
secure tunnel을 통하지 않은 모든 원격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차단합니다.
TCP 통신을 통한 VNC 서버로의 연결을 차단합니다.
-nohttpd
웹기반 VNC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차단합니다.
-localhost
secure tunnel을 통하지 않은 모든 원격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차단합니다.
/etc/sysconfig/vncservers 파일의 설정을 모두 마쳤으면 vnc 연결에서 사용할 계정의 vnc 연결용 패스워드를 지정해줍니다.
# vncpasswd
패스워드를 지정하였으면 /root(사용할 계정 홈 디렉토리)/.vnc/xstartup 파일을 열어서
아래 이미지에서 표시된 부분의 주석 처리를 제거해주고 저장합니다.
이 작업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vnc 연결시 정상적인 X-Window가 보이지 않고 터미널 화면만 보이게 됩니다.
이제 VNC 서버의 설정은 모두 마쳤습니다. 서비스에 등록한 다음 시작해 봅니다.
# chkconfig vncserver on
#
# service vncserver start
#
# service vncserver start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올라갔다면 VNC Client를 통해서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필자는 잘 알려진 윈도우용 VNC 프로그램인 RealVNC(http://www.realvnc.com/)를 이용하여 접속하였습니다.
만약에 정상 접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가장 먼저 서버에서 netstat 명령어를 통해 해당 포트가 listen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root@huikyun /]# netstat -ant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0.0.0.0:5801 0.0.0.0:* LISTEN
tcp 0 0 0.0.0.0:5901 0.0.0.0:* LISTEN
tcp 0 0 0.0.0.0:6001 0.0.0.0:* LISTEN
tcp 0 0 :::6001 :::* LISTEN
tcp 0 0 :::22 :::* LISTEN
tcp 0 228 ::ffff:xxx.xxx.xxx.xxx:22 ::ffff:xxx.xxx.xxx.xxx:4129 ESTABLISHED
[root@huikyun /]#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0.0.0.0:5801 0.0.0.0:* LISTEN
tcp 0 0 0.0.0.0:5901 0.0.0.0:* LISTEN
tcp 0 0 0.0.0.0:6001 0.0.0.0:* LISTEN
tcp 0 0 :::6001 :::* LISTEN
tcp 0 0 :::22 :::* LISTEN
tcp 0 228 ::ffff:xxx.xxx.xxx.xxx:22 ::ffff:xxx.xxx.xxx.xxx:4129 ESTABLISHED
[root@huikyun /]#
netstat 명령에서 포트 listen이 정상임에도 접속이 안되는 것이라면
방화벽 설정에서 vnc 서비스용 포트를 열어두었는지 확인합니다.
# system-config-security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