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정보2009. 2. 27. 20:45

새롭게 전산 환경을 정리하고 가슴 뿌듯해하고 있는 김대리. 그런데 갑자기 인터넷이 불통이라는 전화가 빗발친다. 업무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겪는 일이라 김대리는 허둥지둥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르고 있었다.

일순간에 당혹감이 밀려오면서 미궁에 빠진 우리의 김대리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고 다시 재부팅 시키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한때의 혼란은 잠잠해졌지만, 김대리는 어떤 원인 때문에 그런 일이 발생한 것인지 알 수 없었다.

네트워크에 대해 이제서야 조금씩 눈을 뜨기 시작한 김대리. 이번 일을 라우터 정복의 기회로 삼고자 다시 한번 학습에 매진하는데.


라우터의 이해와 주요 명령어 익히기

허브와 스위치가 LAN 환경을 이어주는 네트워크 장비라고 한다면, 라우터는 WAN 구간을 연결짓는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다. 내부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는 라우터의 네트워크 테이블을 참조해 목적지의 호스트와 통신을 통해 이뤄진다. 라우터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그림1] 라우터의 역할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
·최상의 경로 설정
·라우팅 테이블의 설정
·서브네트워크의 구성

라우터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자면 책을 몇 권은 써야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지면 관계상 중소기업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유지 관리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있는 명령어 몇가지만 소개하고 넘어가겠다.

여러 개발업체들이 개발한 라우터에는 모두 각각 연결된 인터페이스의 상황을 볼 수 있는 명령어가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스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 동작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명령어를 익혀보자.

Router#show interface serial0
ⓐSerial0 is up,ⓑ line protocol is up
ⓒHardware is QUICC Serial
ⓓInternet address is 10.10.10.10/30
ⓔMTU 1500 bytes, ⓕBW 1544 Kbit,
ⓖDLY 20000 usec,ⓗrely 255/255, ⓘload 5/255
ⓙEncapsulation HDLC, ⓚloopback not set, ⓛkeepalive set (10 sec)
ⓜLast input 00:00:00, ⓝoutput 00:00:00, output hang never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1:23:45
ⓞQueueing strategy: fifo
ⓟOutput queue 0/40, 63 drops; input queue 0/75, 0 drops
ⓠ5 minute input rate 109000 bits/sec, 30 packets/sec
ⓡ5 minute output rate 11000 bits/sec, 21 packets/sec
3666167 packets input, 1552062305 bytes, ⓢ0 no buffer
ⓣReceived 50012 broadcasts, ⓤ0 runts, ⓥ0 giants, 0 throttles
ⓦ0 input errors, ⓧ0 CRC, ⓨ0 frame, ⓩ0 overrun, ①0 ignored, ②0 abort
3092834 packets output, 330910586 bytes, ③0 underruns
④0 output errors, ⑤0 collisions, ⑥0 interface resets
⑦0 output buffer failures, ⑧0 output buffers swapped out
⑨0 carrier transitions
⑩DCD=up DSR=up DTR=up RTS=up CTS=up


이제부터 항목별로 각각의 정보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살펴보자.

ⓐ Serial0 is ..[UP/DOWN] → is administratively down
DCE(CSU, FDSU, DSU 등) 장비와 라우터간 인터페이스 신호가 정상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administratively down 상태는 라우터 인터페이스가 shutdown 상태임을 의미한다.

ⓑ line protocol is [up/down]
상대측 라우터와 회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인캡슐레이션(encapsulration)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이다. 만약 down인 경우 다음과 같이 확인하면 된다.

- 자신의 라우터와 DCE 장비(CSU, FDSU, DSU)간 V.35 케이블 접속상태 확인.
- 상대방의 DCE에서 루프백(loopback)을 걸고 자신의 DCE에서 테스트 페턴을 송신했을때 비트 에러 발생 여부 확인
- 상대방의 DCE 장비(CSU/FDSU/DSU)에서 경고(alarm) 발생여부 확인.
- 상대방의 DCE 장비에서 루프백을 걸면 자신의 라우터는 line protocol up [looped] 라고 표시되는지 확인.

ⓒ Hardware is QUICC Serial
하드웨어의 형태를 나타낸다.

ⓓ Internet address is 10.10.10.10/30
IP 어드레스와 서브넷마스크를 나타낸다. /30은 255.255.255.252의 새로운 마스크 표시방법이다.

ⓔ MTU 1500 bytes
인터페이스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패킷 사이즈 단위.

ⓕ BW 1544 Kbit(BW=BandWidth)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대역폭의 변수로, 전용회선의 속도가 1544Kbps임을 나타낸다.

ⓖ DLY 20000 usec
인터페이스 지연시간

ⓗ rely 255/255 (Reliability)
인터페이스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5분간 평균이다. 수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할 때에는 회선 품질 상태를 ISP에 연락한다.

ⓘ load 5/255
인터페이스 사용되는 트래픽의 5분간 평균치 부하.

ⓙ Encapsulation HDLC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인캡슐레이션 방법 표시

ⓚ loopback not set
라우터 인터페이스 루프백의 설정여부 표시, 해당 인터페이스 내부에서 루프백 사용.

ⓛ keepalive set (10 sec)
회선상태를 확인하는 시간, 10초 단위로 회선상태를 체크한다.

ⓜ Last input 00:00:00
해당 인터페이스가 마지막 패킷을 받고 난 시간.

ⓝ output 00:00:00 output hang never
인터페이스가 마지막으로 패킷을 보낸 시간

Last clearing of "show interface" counters 1:23:45
인터페이스 카운터를 클리어(clear)하고 난 이후의 시간을 표시(여기서는 1시간 23분 45초가 경과되었음을 의미). 클리어 카운터 명령시에는 인터페이스의 수치값이 초기화되는 점에 주의할 것.

ⓞ Queueing strategy: fifo
큐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방식을 지정하는 명령어.

- fifo(first in first out) : 큐에 먼저 저장된 데이터부터 먼저 전송
- weighted fair : 큐에 저장된 데이터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

ⓟ Output queue 0/40, 63 drops; input queue 0/75, 0 drops
아웃풋과 인풋 큐의 패킷수로, 드롭은 큐가 차서 버리는 패킷 수. 드롭되는 패킷을 줄이기 위해 큐를 늘려주면, 다른 부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주의.

ⓠ 5 minute input rate 109000 bits/sec, 30 packets/sec
5분간 평균적으로 수신된 데이터량을 표시.

ⓡ 5 minute output rate 11000 bits/sec, 21 packets/sec
5분간 평균적으로 송신된 데이터량을 표시.

ⓢ 0 no buffer
시스템내의 버퍼가 없어서 인터페이스가 받아 버린 패킷의 수.

ⓣ Received 50012 broadcasts
인터페이스가 받은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 패킷의 총 수(50012).

ⓤ 0 runts
데이터 필드의 최소 전송 패킷사이즈(46바이트)보다 작아서 버린 패킷의 수.

ⓥ 0 giants
데이터 필드의 최대 전송 패킷사이즈(1500바이트)보다 커서 버린 패킷의 수.

ⓦ 0 input errors
no buffer, runts, giants, CRC, frame, overrun, ignored, abort counts의 전체 수치를 나타낸다. input과 관련된 다른 에러를 포함한 전체 에러 수를 나타낸다.

ⓧ 0 CRC
패킷 자체의 에러 체크섬(error checksum)을 통해 보내진 데이터와 받은 데이터가 정확한지를 체크하고 에러가 발생할 때 표시한다. CRC는 전송로의 잡음이나 DCE 오동작, 인터페이스케이블 접속불량일 때 생성됨.

ⓨ 0 frame
CRC 에러 등을 가진 부정확한 패킷의 수, 주로 잡음이나 전송장애시에 발생한다.

ⓩ 0 overrun
인풋 데이터를 수신측 하드웨어가 초과된 데이터가 들어와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경우를 말하는데, 하드웨어 버퍼가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할 수 없게 된 횟수.

① 0 ignored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이나 잡음의 갑작스런 증가로 인해 ignored가 증가.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버퍼 부족으로 인터페이스가 받은 데이터를 무시하는 횟수.

② 0 abort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링크 장비 사이의 클럭(clock) 문제로 인해 발생.

③ 0 underruns
시리얼로 나가는 아웃풋 데이터를 전송측 하드웨어가 처리하지 못하게 된 횟수.

④ 0 output errors
underruns, collisions, interface resets, output buffer failures, output buffers swapped out carrier transitions counts의 전체 수치.

⑤ 0 collisions
이더넷 콜리전 때문에 재전송되는 메시지의 수. 증상 원인은 이더넷 케이블이 너무 길거나, 접속불량, 허브를 너무 많이 연결할 경우에 발생.

⑥ 0 interface resets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리셋(reset)된 횟수. 이 경우는 특정시간안에 큐에 있는 패킷을 전송 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한다. 회선이 다운될 때와 업될 때 1번씩 증가.

⑦ 0 output buffer failures
아웃풋 버퍼가 실패(failures) 상태가 된 횟수.

⑧ 0 output buffers swapped out
아웃풋 버퍼 이상으로 바뀐 횟수.

⑨ 0 carrier transitions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DCD(Data Carrier Detect) 시그널 변경 횟수, 수치 증가시 회선이 다운/업되고 있으므로 전용회선 테스트 필요.

⑩ DCD=up DSR=up DTR=up RTS=up CTS=up
DCD는 상대 DCE로부터 수신된 반송파 유무를 표시. DSR(Data Set Ready)는 DCE 동작 완료 상태를 표시. DTR(Data Terminal Ready)는 라우터 동작 완료 상태를 표시. RTS (Request To Send)는 라우터가 DCE에 데이터 송신요구 표시 준비를 완료한다. CTS(Clear TO Send)는 DTE가 DTE에 데이터 송신 가능을 표시.

출처 : 온더넷 2004년 5월호
Posted by Huikyun